[ 펼치기 · 접기 ]
(파일:국회휘장.svg) 국회
국회박물관
(파일:국가정보원 로고.svg) 국가정보원
안보전시관
파일:정부상징.svg 기획재정부
한국조폐공사화폐박물관
관세청관세박물관
국세청국립조세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과학관◈대전(중앙) · 과천 · 서울(어린이) · 광주 · 대구 · 부산 · 원주(강원)2025년 예정
한국지질자원연구원지질박물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우주과학관
우정사업본부 / 서울중앙우체국우표박물관
우정사업본부 / 우정공무원교육원우정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외교부
외교사료관
파일:정부상징.svg 통일부
국립6.25전쟁납북자기념관
파일:정부상징.svg 법무부
검찰청검찰역사관 · 국가형사사법기록관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국방부
전쟁기념사업회전쟁기념관
육군사관학교육군박물관
해군사관학교해군사관학교박물관
공군사관학교국립공군박물관
육군부사관학교국립전사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행정안전부
경찰청경찰박물관
소방청국립소방박물관2025년 예정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파일:정부상징.svg 국가보훈부
독립기념관 ·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 호남호국기념관
파일:정부상징.svg 문화체육관광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국립한글박물관 · 국립한국문학관 · 국립세계문자박물관
국립박물관서울(중앙) · 춘천 · 청주 · 공주 · 부여 · 전주 · 익산 · 광주 · 나주 · 대구 · 경주 · 진주 · 김해 · 제주 · 충주2026년 예정
국립현대미술관과천(본관) · 서울 · 덕수궁 · 청주 · 대전2026년 예정
국립민속박물관서울(본관) · 파주
국가유산청국립고궁박물관 · 국립무형유산원 ·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 석조전 대한제국역사관 · 충무공이순신기념관 · 세종대왕역사문화관
국립문화유산연구원천연기념물센터
국립해양유산연구소해양유물전시관(목포(본관) · 태안)
국립국악원국악박물관
국립중앙극장공연예술박물관
국립아시아문화전당아시아문화박물관
국민체육진흥공단국립스포츠박물관2026년 예정
대한체육회한국체육박물관
태권도진흥재단국립태권도박물관
한국영상자료원한국영화박물관
한국저작권위원회국립저작권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농림축산식품부
국립농업박물관
한국마사회말박물관
산림청국립산악박물관
산림청 / 국립수목원산림박물관
국립농업과학원잠사곤충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보건복지부
국립소록도병원한센병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여성가족부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국립여성사전시관
파일:정부상징.svg 국토교통부
국립항공박물관 · 국토발전전시관
국토지리정보원국립지도박물관
한국토지주택공사토지주택박물관
한국철도공사철도박물관
새만금개발청국립새만금간척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해양수산부
국립해양박물관 · 국립인천해양박물관 · 국립해양과학관 · 국립해양수산박물관2026년 예정
국립해양생물자원관국립해양생물자원관 씨큐리움
한국항로표지기술원국립등대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환경부
기상청국립기상박물관 · 국립밀양기상과학관 · 국립충주기상과학관 · 국립대구기상과학관 · 국립전북기상과학관
(파일:한국은행 심볼.svg) 한국은행
화폐박물관
(파일:국립박물관단지 흰색 심볼.svg) 국립박물관단지
국가기록박물관 · 국립어린이박물관 · 국립도시건축박물관 · 국립디지털문화유산센터 · 국립디자인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정부대전청사 상설 및 특별전시관
발명인의 전당 · 조달전시관 · 정부조달상품문화전시장 · 통계전시관 · 숲사랑체험관 · 국가기록전시관 · 병무역사기록관 · 관세기록관
◈표시가 붙여있는것은 과학관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의 해당하는것

국립익산박물관
國立益山博物館
Iksan National Museum
파일:국립익산박물관 로고.svg
-------

파일:국립익산박물관 MI.svg
설립일1995년 1월 (전라북도익산지구문화유적지관리사업소)
2015년 12월 30일 (국립미륵사지유물전시관)
2019년 2월 26일
관장김울림
관람시간화~일요일 09:00 ~ 18:00
주소
<iframe width="100%" height="" frameborder="0" style="border:0px; display:inline-block; width:auto; height:auto; max-width:100%; min-width:100%; max-height:; min-height:; border:none;" src="https://www.google.com/maps/embed/v1/place?q=국립익산박물관&key=AIzaSyCwJVbH8ZCJOQ1mvr_qVLBhZ1QL-zhguT4&region=KR&maptype=roadmap" allowfullscreen></iframe>
국립익산박물관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금마면 미륵사지로 362
상급 기관문화체육관광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png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국립익산박물관 전경
파일:국립익산박물관.webp


목차

1. 개요
2. 연혁
3. 역대 관장
4. 관람안내
4.1. 관람편의
4.2. 위치
4.3. 관람 시 유의 사항
5. 시설안내 및 소장품
5.1. 익산백제실
5.2. 미륵사지실
5.3. 역사문화실
5.4. 기획전시실
6. 관련 문서

1. 개요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미륵사지로 362 (금마면)에 있는 국립중앙박물관 산하 국립 박물관이다. 미륵사지를 비롯하여 익산, 군산지역에서 출토되는 유물을 전시하는 박물관이며, 주로 백제 시대의 유물을 중심으로 전시하고 있다.

전라북도의 공립박물관이었다가, 2020년 1월 10일 '국립미륵사지유물전시관'이 '국립익산박물관'으로 새롭게 증축 개관하였다.

2. 연혁

  • 1994. 10. 07. 전라북도익산지구문화유적지관리사업소 설치조례 제정
  • 1995. 01. 전라북도익산지구문화유적지관리사업소 개소
  • 1996. 07. 04. 미륵사지출토 국가귀속유물 위,수탁 협약(19,049점) (국립전주박물관장-전라북도익산지구문화유적지관리사업소장)
  • 1996. 11. 22. 미륵사지유물전시관 등록
  • 1997. 05. 09. 미륵사지유물전시관 개관
  • 2002. 사무동 1동 신축 및 기획전시실 1실 신설
  • 2007. 07. 30. 중원출토 금동향로 국가귀속 및 미륵사지유물전시관 보관
  • 2007. 08. 03. 미륵사지유물전시관으로 명칭 및 기구변경
  • 2015. 12. 30. 국립미륵사지유물전시관으로 전환
  • 2016. 03. 16. 제1 종합박물관 등록, 제 2016-1호
  • 2019. 02. 26. 국립익산박물관 승격(대통령령 제 29571호)
  • 2020. 01. 10. 본관 전시동 증축 및 재개관​

3. 역대 관장

  • 초대 신상효 (2019~2021)
  • 2대 최흥선 (2021~2023)
  • 3대 김울림 (2023~현재)

4. 관람안내

  • 관람시간 : 오전 9시 ~ 오후 6시 (토요일, 공휴일은 1시간 연장)
  • 휴관일 : 1월 1일, 설날 , 추석, 매주 월요일 (*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 개관하고 다음 평일에 휴관)
  • 관람료 : 무료
  • 주차료 : 무료

4.1. 관람편의

4.2. 위치

  • 기차를 통해 올 경우 익산역에서 하차하여 대한통운 정류장에서 시내버스(41번, 41-1번)
  • 버스를 통해 올 경우 금마에서 41, 41-1 시내버스 이용 또는 금마에서 미륵사지까지 택시 이용(소요시간 5분, 요금 5000원 정도)
  • 익산역에서 미륵사지까지 택시를 타고 갈 경우 약 30분정도 소요되고, 요금은 약 15,000원 정도다. 웬만하면 시내버스를 이용하자.
  • 택시가 안 올 경우 카카오T앱이나 익산 다이로움 택시 어플을 이용해서 콜택시를 부르면 된다. 혹시 전화로 다이로움 택시를 부를 경우 옆에 적혀있는 번호로 연락하면 온다.(063-855-1000)
  • 전주를 거쳐 올 경우 전주시외버스터미널이나 덕진동간이정류소에서 하루 6회 운행되는 금마행 시외버스를 타고 금마터미널에서 내려 2610번, 5600번이나 택시로 갈아타면 된다.(1) 시내버스를 이용할 경우 전주에서 삼례, 우석대 가는 버스는 자주 있지만 삼례에서 금마로 가는 2650번 버스는 1시간에 1대 꼴로 있을 뿐더러, 11시 15분 버스가 운휴되는 6월~9월 기간에는 10시 5분부터 12시 45분까지 2시간 40분 동안 시간이 비게 된다는 점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 센트럴이나 남부터미널에서 고속/시외버스를 이용한다면 팔봉간이정류소에서 하차하여 길을 건너 맞은편 버스 정류장에서 금마행 2100번으로 갈아타면 된다. 보석박물관이나 식품클러스터에서 하차하여 봉동에서 금마로 가는 2640번 버스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배차 간격이 1시간 이상이고 6월~9월 기간에는 11시 15분에서 14시 45분까지 3시간 30분 동안 차가 안 다니므로 권장하지 않는다.
  • 승용차
  • 호남고속도로 익산 I.C → (722번 지방도) → 익산시내방면 5.3㎞ → 금마사거리 → 우회전 → 금마, 미륵사지
  • 삼례 I.C → (1번 국도, 10.4㎞) → 금마, 미륵사지
  • 논산 I.C → (1번 국도) → 연무 → 여산 → 금마, 미륵사지
  • 서해안 고속도로 이용 시 동군산 I.C → 718번 지방도 이용

4.3. 관람 시 유의 사항

  • 모든 공간 금연
  • 음식물 반입 금지
  • 애완동물 출입 금지(2)
  • 플래시/삼각대 등을 이용한 촬영 및 상업적 용도를 위한 촬영 금지
  • 바퀴 달린 신발을 신은 고객 입장 불가
  • 전시실 입장 전 휴대 전화는 전원을 끄거나 무음/진동
  • 전시물에 손을 대거나 손상을 입힐 수 있는 행위 절대 삼가
  • 슬리퍼 등 정숙한 관람을 해치는 복장 자제

5. 시설안내 및 소장품

익산백제실, 미륵사지실, 역사문화실, 기획전시실로 이루어져 있다.

5.1. 익산백제실


익산은 사비 백제의 신도시였습니다. 고대 동아시아 도성 개발사의 한 축인 왕궁리유적, 백제 일탑일금당식 가람 배치의 완성형 제석사지, 백제의 마지막 왕릉으로 주목받는 쌍릉 등 가장 완숙하고 우아한 백제 후기의 문화를 간직하고 있습니다.


사비 백제의 신도시였던 익산. 백제시대 왕궁리 유적(3)제석사지, 쌍릉 등 완숙하고 우아한 백제 후기 문화를 볼 수 있다.

5.2. 미륵사지실


7세기 백제 시기에 창건된 미륵사彌勒寺는 왕실의 안녕과 중생의 불도佛道를 기원하며 건립된 사찰입니다. 통일신라 시기에도 거대한 불교 사원으로 번창했으며 고려 시대에도 중요한 불교 사원으로 존재했습니다. 조선의 불교 억압 정책에도 불구하고 명맥을 유지하던 미륵사는 임진왜란 이후인 17세기까지 법등을 이어갔습니다.


5.3. 역사문화실


우리가 지금 서 있는 곳은 강물이 범람하며 생긴 비옥한 들판, <옥야沃野>, <옥구沃溝>라는 옛 이름을 가진 익산과 군산입니다. 북쪽과 남쪽으로는 금강과 만경강, 서쪽에는 서해를 두르고 있는 두 곳은 호남의 관문이자 개방과 번영의 땅으로 매 순간 새로운 역사를 써 내려간 곳입니다. 뚜렷한 정체성을 가진 익산과 군산의 역사와 삶, 그리고 문화를 옛사람이 남긴 흔적을 통해 살펴봅니다.


5.4. 기획전시실

비정기적 특별 전시를 하는 곳

6. 관련 문서

(1) 삼례, 금마 경유 함열행 시외버스가 미륵사지 근처를 통과하나 정차하지 않는다.
(2) 안내견 제외
(일부) 전체 유물은 아니고, 일부 유물은 해당 유적 바로 옆 백제왕궁박물관에 있다.